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이앓이 원인부터 대처

by 오목또미 2025. 8. 4.

우리 아이 이앓이, 언제까지 아플까요?

오늘은 우리 아기의 이앓이이 대해서 설명을 해보려 합니다 

우리 아이 이앓이
우리 아이 이앓이

엄마 아빠가 꼭 알아야 할 이앓이의 모든 것

아기가 어느 날부터 이유 없이 칭얼대기 시작했어요. 평소엔 잘 먹던 분유도 거부하고, 갑자기 밤에 자주 깨고, 입에 손을 자꾸 넣고 물건을 물어뜯으려 하더라고요. 혹시 아기 이앓이 때문일까요?

육아 선배들은 하나같이 말하죠.

"이앓이, 진짜 힘들어. 엄마 아빠도 같이 잠 못 자."
"이거 지나가면 또 금세 잊힌다니까~"

하지만 그 ‘잠깐’이 참 고되고 길게 느껴지는 건 왜일까요?


이앓이란 무엇인가요?

이앓이(teething)는 아기의 잇몸을 통해 유치(젖니)가 자라나면서 생기는 일종의 불편감과 통증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생후 4~6개월 사이에 첫 이가 나기 시작해서, 만 2세 전후로 20개의 유치가 거의 다 자라게 됩니다. 이 시기 동안 아기들은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요, 그것이 바로 '이앓이'입니다.


이앓이 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아기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잇몸 부위의 붓기와 발적
    이가 날 부위의 잇몸이 붉고 부어오르는 경우가 많아요. 손가락이나 장난감을 입에 넣고 자꾸 씹는 것도 이 때문이에요.
  • 침 분비 증가
    평소보다 침이 많이 나오고, 입 주변이 짓무를 수 있어요. 이앓이 시기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 과민 반응과 보챔
    아기가 이유 없이 칭얼대고, 안기거나 품에 있으려는 경우가 많아요. 밤잠을 설치기도 하죠.
  • 식욕 저하
    잇몸이 아프다 보니 분유나 이유식을 잘 먹지 않기도 해요. 특히 숟가락이나 젖꼭지가 닿는 걸 거부할 수 있어요.
  • 귀를 잡아당기거나 얼굴을 비빔
    통증이 얼굴 쪽 신경과 연결되어 있어서 아기가 귀를 잡아당기거나 볼을 문지르기도 해요.

언제쯤 이앓이가 시작되나요?

대부분의 아기들은 생후 6개월 전후 첫 유치(보통 아래 앞니)를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빠르면 3개월, 늦으면 12개월이 넘어서 첫 이가 나는 경우도 있으니 너무 조급해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유전적 요인이나 영양 상태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일반적인 유치 발달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시기(평균)유치 종류
6~10개월 아래 앞니 (중절치)
8~12개월 위 앞니
9~13개월 위·아래 측절치
13~19개월 제1유구치 (어금니)
16~22개월 송곳니
25~33개월 제2유구치 (두 번째 어금니)
 

이앓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아기가 이앓이로 힘들어할 때, 부모가 해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어요:

  1. 차가운 치발기 제공하기
    냉장고에 잠시 넣은 치발기를 제공하면 잇몸 진정에 도움이 돼요. 단, 냉동실은 피하고 너무 차갑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2. 잇몸 마사지
    손을 깨끗이 씻은 뒤 부드럽게 잇몸을 마사지해 주면 아기가 좋아할 수 있어요.
  3. 침 분비 대비하기
    침 닦는 손수건을 항상 준비해두고, 턱 밑이 짓무르지 않도록 자주 닦아주세요.
  4. 불편한 증상 완화제 사용 (의사 상담 후)
    잇몸 진정 젤이나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 후 사용해야 해요.
  5. 엄마 아빠의 여유 있는 반응
    아기에게 가장 큰 위로는 결국 부모의 따뜻한 품이에요. 힘들겠지만 아기가 힘든 시기를 잘 넘길 수 있도록 차분하게 안아주세요.

이런 경우는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

이앓이 증상과 겹쳐서 다른 병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으니 아래 증상이 있으면 소아과를 방문해 보세요:

  • 고열(38.5℃ 이상)이 2일 이상 지속
  • 이앓이 외에도 설사, 구토, 기침 등 동반 증상
  • 귀를 자꾸 만지면서 우는 경우 (중이염 의심)
  • 수분 섭취가 어려울 정도로 식욕 부진

이앓이, 결국 지나갑니다

지금은 밤새 안아주느라, 이유식 겨우겨우 먹이느라 너무 힘드시죠. 하지만 아이의 첫 이가 자라나는 이 순간은 아주 중요한 성장의 일부입니다. 이앓이를 지나며 아이는 더욱 단단해지고, 엄마 아빠도 함께 한층 더 성장해요.

그리고 며칠 뒤, 아기의 작은 입 안에 반짝이는 하얀 이가 모습을 드러내면… 아마 그동안의 고생이 조금은 보람으로 느껴질 거예요. “우리 아기, 이렇게 자라고 있구나.”


마무리 한마디
육아는 정답이 없는 긴 여정입니다. 이앓이처럼 작지만 큰 고비를 함께 넘으며, 우리도 천천히 좋은 부모가 되어가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 🌷